‘돈 없다, 배 째라’ 드러눕더니 현금 1억 50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성동형 스마트쉼터, 세계 4대 환경상 수상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석촌호수 산책하다 미술 작품 감상… 송파 ‘더 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구로, ‘승용차 마일리지 평가’ 최우수 자치구 선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명예보다 워라밸”… ‘중·국·산·고·기’ 외면하는 MZ사무관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달라진 부처 선택의 잣대

행정고시 합격한 수습 사무관들
국세청·금융위·공정위 더 선호해
워라밸 좋은 해수·과기부도 인기
‘업무 과중·인사 적체’ 기재부 기피
“사명감 갖고 입직할 분위기 돼야”
행정고시를 패스한 ‘수습 사무관’들의 선호 부처가 변하고 있다. 테크노크라트들이 중용되던 계획경제 시대에는 “국가를 위해 헌신하겠다”는 소명의식으로 무장한 이들이 다수였고 2000년대 들어 “힘 있는 부서에서 일해 보겠다”, “고위직까지 승진하겠다”는 등 입신양명파가 늘었다면, MZ세대가 유입된 최근에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과 ‘성장(이직) 가능성’ 등이 바로미터가 됐다. 그 결과 ‘중·국·산·고·기’(중소벤처기업부·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기획재정부)는 후순위로 밀리고 ‘국·금·공’(국세청·금융위원회·공정거래위원회) 지망자가 늘고 있다.




19일 관가에 따르면 올해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신임관리자과정 수석을 차지해 인사혁신처장상을 받은 이지은(25·행시 66회·재경직) 사무관은 금융위를 1지망으로 택했다. 이 사무관은 “금융 분야 전문성을 갖춘 부처여서 매력적이라 생각했으며, 서울 근무란 점도 이유가 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행시 67회 재경직 차석을 차지한 김상록(28) 사무관도 금융위를 선택했다. 금융위의 인기에 대해 공무원들은 한목소리로 “서울에 있어서”라고 말한다.

지난해 67회 행시 법무행정직에 수석 합격한 박진재(30) 사무관은 공정위를 1지망으로 택했다. 박 사무관은 영국 옥스퍼드대 졸업 후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을 거쳐 제10회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뒤 행시까지 붙었다. 2020년(64회)과 2021년(65회) 재경직 수석의 경우에도 선택은 공정위였다. 공정위 고위 관계자는 “자기가 맡은 사건을 방해받지 않고 소신껏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기업을 상대로 한 전문 업무이다 보니 대기업이나 로펌으로의 이직 기회가 많다는 점도 이유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국세청도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직 기회가 많고 퇴임 후 세무사라는 안정된 노후가 보장된다는 점에서 인기가 높다. 세무 공무원 경력이 20년 이상이거나 국세청 근무 경력이 10년 이상이면서 5급 이상으로 재직한 기간이 5년 이상이면 세무사 시험에서 세법학 1·2부 시험이 면제된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산하 경제정의연구소가 조사한 2016~2021년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자 재취업 현황에 따르면, 퇴직자 588명 중 민간 기업으로 진출한 인원이 가장 많은 기관이 국세청(81명)이었다.

해양수산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유연한 조직 문화와 워라밸로 인기가 높다. 2021년 65회 행시 일반행정직 수석은 해수부를, 2022년 66회 행시 일반행정직 수석은 과기부를 각각 택했다. 과거에는 드문 일이었다.

반면 경제정책 컨트롤타워이자 ‘관료사회의 갑’으로 통하는 기재부 위상은 예전 같지 않다. 예산과 세제를 주무르는 권력을 쥐고 있어 수재들이 몰렸지만 지금은 과중한 업무와 인사 적체 탓에 기피 부처로까지 인식된다. 기재부 사무관은 “바쁠 땐 새벽 2~3시에 퇴근하기 일쑤인데 월급은 얼마 안 돼 ‘현타’를 느낀다”며 “인사 적체로 4급 승진만 10년이 넘게 걸리는데 성취감을 찾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기재부는 2022년 행시 66회 재경직 수석이 지난해 배치되면서 겨우 체면치레했다. 기재부가 수석 인력을 배정받은 건 63회 이후 3년 만이었다.

이런 세태를 바라보는 ‘올드보이’들은 달갑지 않다. 경제부처 고위 공무원은 “우리 때는 기재부 입직 자체를 명예롭게 여겼는데 요즘은 그런 자부심을 글로벌 빅테크 취업에서 느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인재를 유인하기 위해 부처별로 고민도 많지만 뾰족한 수는 없다. 오히려 ‘힘든 부처’라는 낙인 효과를 걱정하는 시각도 있다. 사회부처 한 사무관은 “공직에 대한 사명감을 가지고 입직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인재들이 업무가 많은 부처에라도 자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이주원 기자
2024-11-20 18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