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을 타켓으로 하는 클럽마약, 5년간 적발량 7.3배 증가 |
- 케타민 1kg 이상 대형 밀수 급증 ··· 청년층 중심으로 수요 확산 우려 - 관세청, 인공지능(AI) 기반 위험 선별 시스템 고도화·주요 마약 발송국과의 공조 강화 등 공급망 차단에 집중 |
□ 관세청은 2025년 9월까지 클럽마약* 밀반입 단속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적발량이 약 7.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 클럽마약('Club Drugs', 'Party Drugs') : 클럽·파티·유흥업소 등에서 주로 소비되는 마약류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MDMA, 케타민, LSD 등이 있음. 감각마비, 환각, 피로감소, 자극증가를 유발하며 일부 성범죄에 악용됨
ㅇ 클럽마약 전체 적발건수는 2021년 215건에서 2025년 9월 기준 116건으로 감소했으나, 적발량은 같은 기간 15.8kg에서 115.9kg으로 증가하여 중량 기준으로 7.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이는 약 232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특히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의 적발량(115.9kg)이 2024년 전체 적발량(79.9kg)을 초과하여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 클럽마약 적발 건수 및 중량】
|
□ 클럽마약 중 밀반입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 것은 케타민으로, 특히 1kg 이상 대형 케타민 밀수 적발건수가 급증하고 있어 밀수 규모의 대형화 현상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ㅇ 케타민 적발량은 2021년 5.9kg에서 2025년 101.9kg으로 17.3배 증가하였으며, 1kg 이상 대형 케타민 밀수 적발* 건수도 2021년 1건에서 2025년 15건으로 15배 늘어났다.
* 케타민 1kg은 약 2만명이 동시투약 가능한 양(1회 0.05g기준)
|
|
【클럽마약 품목별 적발량 추이】 | 【1kg 이상 대형 케타민 밀수 적발건수】 |
□ 케타민의 주요 반입경로는 특송화물(51.4kg), 여행자 수하물(41.8kg), 국제우편(8.0kg) 순으로, 전체의 90% 이상이 특송화물과 여행자 수하물을 통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주요 발송국은 프랑스(57.1kg), 영국(11.8kg), 독일(10.8kg) 등으로, 유럽 내에서 활동하는 국제마약조직이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 한국으로 케타민 밀반입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ㅇ 유엔 마약범죄 사무소(UNODC)·유엔 산하 국제마약통제위원회(INCB) 등 국제마약기구 보고서 또한 케타민 등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도심 유흥가와 파티 문화 등을 통해 청년층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 관세청은 클럽마약 밀수 증가가 청년층 기반 수요 확산과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공급망 차단에 집중할 계획이다.
ㅇ 인공지능(AI) 기반 우범여행자 및 위험화물 분석·선별 시스템을 개발·고도화하여 우범여행자·특송화물·국제우편 등을 대상으로 집중 검사를 실시하고, 밀리미터파 검색기, 라만분광기, 이온스캐너 등 첨단 마약탐지장비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ㅇ 아울러 유럽 및 동남아 주요 마약 발송국과의 공조체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청소년층 대상 마약 오남용 예방 교육 및 온라인 캠페인을 통한 홍보활동도 지속 실시할 계획이다.
□ 이명구 관세청장은 "클럽마약 밀반입은 우리 미래를 책임질 청년층을 표적으로 하는 심각한 범죄"라며, "관세청은 통관단계 집중 검사, 해외 관세당국과의 국제공조 강화 등 모든 역량을 투입해 국경 단계에서의 마약 밀반입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 전화신고 : 지역번호 없이 125 / 인터넷신고 : 관세청 누리집 > 밀수 신고 > 신고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