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 123대 국정과제 확정
-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만들기' 본격 착수 -
□ 정부는 9월 16일 국무회의에서 국정과제를 포함한 「국정과제 관리계획」을 확정하는 한편, 앞으로 5년간 새정부가 역점 추진할 국정 운영의 핵심 로드맵인 123대 국정과제를 본격 추진하기로 하였다.
□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는 지난 8월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이재명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 포함된 국정과제(안)을 정부 차원의 검토 및 조정·보완을 거쳐 확정한 것이다.
ㅇ 정부는 정책·재정여건, 실천 가능성 등을 집중 검토하여 소관부처 검토–국조실·대통령실 조정을 거쳐 국정과제 내용을 보완하였다.
□ 최종 확정된 국정과제 체계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 아래,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 등 5대 국정목표, 23대 추진전략, 123대 과제로 구성되었다.
□ 한편, 정부는 국정과제가 차질 없이 이행되어 신속히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 부처가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하는 범정부 추진체계를 구축한다.
ㅇ 정부 차원에서 온라인 국정관리시스템과 오프라인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하여 국정과제 추진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관리한다.
ㅇ 특히, 국민이 체감하는 입법성과의 조기 창출을 위해 법제처에 '국정입법상황실'을 설치(8.25.)하여, 국정과제 입법 全주기를 밀착 관리하고 입법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선제적으로 파악·대응할 계획이다.
※ 국정과제 중 입법조치 필요한 사항: 법률 751건, 하위법령 215건 등 총 966건(법률안 110건 연내 국회 제출, 하위법령 66건 올해 제·개정 예정)
□ 아울러,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ㅇ 국정과제 온라인 소통창구인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구축하여 국민이 제기한 의견을 정부가 신속히 답하는 쌍방향 소통채널을 구축하고,
ㅇ 주기적으로 국민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민생 관련 중요 국정과제는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 국정과제 추진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오늘 국무회의에서 「정부업무평가 기본계획('25~'27)」과 「'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 수정안」도 함께 확정하였다.
ㅇ 오늘 확정된 국정과제를 반영하여, 올해는 ①미래 전략산업 육성 등 각 부처가 역점 추진하는 정책과제, ②신산업 등 규제 합리화, ③AI를 활용한 일하는 방식 혁신, ④디지털 소통·홍보 노력 강화 등을 중점 평가*할 예정이다.
* ①역점정책, ②규제합리화, ③정부혁신, ④정책소통 등 4대 부문 평가
ㅇ 또한, '국민주권정부'에 걸맞게 평가 과정에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비중 있게 반영할 계획이다.
□ 정부는 향후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의견을 수시로 청취하고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며, 국민요구와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이행계획도 지속 보완하며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