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K-발명교육, 캄보디아로 뻗어간다!
- 특허청, 캄보디아에서 '25~'27년 발명교육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실시 -
-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상무부와 고위급 회의 및 양해각서(MOU) 체결(5.5) - |
'25년~'27년 3년간 캄보디아에 한국형 발명교육 모델을 전수하기 위한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이 시작된다.
특허청(청장 김완기)은 5. 5.(월) 14시(현지시간), 소카 씨엠립 리조트 & 컨벤션 센터(캄보디아 씨엠립)에서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 킴 세타니 차관, 상무부 옥 쁘러찌어 차관과 발명교육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하였다.
양해각서는 ①지속가능한 발명교육 제도의 개발, ②「발명교육 운영 위원회」설립, ③공중의 인식제고 등의 협력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동 사업을 통해 ▲'캄보디아 국가 발명교육 종합 계획'의 수립 ▲발명교육 프로그램과 교재 준비 ▲교육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지정 학교 내 발명교육 교실 설치·운영 등의 구체적인 성과가 도출될 예정이다.
목성호 차장은 양해각서 교환 행사에 앞서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 상무부 차관과 고위급 회의를 갖고, 발명교육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중요성 및 지식재산권 보호, 상표 데이터 교환, 워크 플랜 수립 등 작년에 체결된 바 있는 양국간 지식재산 분야 심화협력 양해각서 이행 현황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양해각서 교환 행사 후, 효과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서 참여기관* 고위급이 참여하는 「발명교육 운영 위원회」 발족식을 갖고 한국형 발명교육 모델의 캄보디아 도입에 힘을 모으기로 하였다.
* (한) 특허청, (캄) 교육청소년체육부, 상무부
이번 사업은 그간 한국 특허청이 쌓아온 발명교육에 대한 노하우를 통해 캄보디아의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지식재산에 기반을 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경험을 개도국에 확산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성호 특허청 차장은 "국가의 경제성장에 있어서 지식재산이 갖는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캄보디아의 혁신 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이번 발명교육 공적개발원조 사업은 의의가 크다"면서 "캄보디아에 한국형 발명교육 모델을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향후 세계로 확산하는 밑거름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