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시간 충전해도 70㎞ 밖에 못달려
대기오염 저감에도 연비 낮아 외면”
충전시설 공유·표준화도 기대 못해
전국 224만대 중 전기차 3.6% 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도심 대기 오염과 생활 소음 저감 등을 위해 내연 이륜차의 전기 이륜차(전기차) 전환을 지원하지만 수요자의 무관심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배달 라이더 등은 긴 충전 시간에 비해 주행거리가 짧아 교체를 꺼리는 데다 정부 지원도 한계가 있어서다. 18일 대전시와 환경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등록된 이륜차 224만 2237대 중 전기차는 3.6%인 8만 701대에 불과했다.
코로나19 기간 배달업 증가와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2020년 1만 4195대, 2021년 1만 6858대, 2022년 1만 4892대가 보급됐다. 그러나 일반형과 배터리 교환형으로 차량 선택이 다양해진 2023년 8174대, 지난해 9546대로 오히려 감소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전기차 전환에 320억원을 투입해 4만대를 보급할 계획이었으나 실제 지원은 23.9%에 그쳤다.
2016년 공공을 시작으로 2018년 민간에 대해서도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지원한 대전시도 2022년 356대까지 확대됐지만 지난해 보급 대수가 계획(381대) 대비 36.5%(139대)에 불과했다. 한국전기이륜차배달라이더협회 관계자는 “배달 라이더가 하루평균 120~130㎞를 주행하는 데 전기차는 3~4시간 충전해도 주행거리가 60~70㎞로 짧다”며 “보조금이 있지만 전환에 따른 장점이 적다 보니 필요성을 체감하지 못한다”고 했다. 전기 이륜차 구매 보조금은 차량 규모와 연비·배터리 용량에 따라 차등 지원된다. 최대 보조금이 경형은 140만원, 소형 230만원, 중형 및 기타형 270만원, 대형 300만원 등이다. 정부는 충전 불편 및 주행거리 확보를 위해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공유 스테이션)과 충전시설 표준화 등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 공유 스테이션은 1872기다. 서울(897기)과 대구(247기), 경기(203기), 경남(176기), 인천(144기) 등 5개 지역이 전체 89.0%(1667기)를 차지해 지역 간 격차가 크다. 현장에서는 제작사별로 배터리팩이 다른 상황에서 공유 스테이션이나 충전시설 표준화는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한다.
대전 박승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