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긍심 고취·우수 인력 유인 도모
비정규직도 포인트 年 20만원으로
복지시설 범위 확대… 수혜자 늘 듯
정원오(앞줄 가운데·‘행’자 자판) 성동구청장이 지난해 열린 ‘제25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 ‘성동 복지인의 날’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성동구는 ‘맞춤형 복지 포인트’를 개편해 사회복지사 처우를 개선한다. 성동구 제공 |
서울 성동구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맞춤형 복지 포인트’를 대대적으로 개편해 복지 향상 등 처우 개선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성동구는 2018년부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무 여건 개선과 자긍심 고취, 우수 복지 인력 유입을 도모하기 위한 맞춤형 복지 포인트를 운영하고 있다. 맞춤형 복지 포인트는 건강 관리, 자기 계발, 가정 친화, 여가 활동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금성 포인트다.
구는 올해부터 지원 시설과 대상자의 범위를 더욱 넓혀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정규직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종사자에게도 복지 포인트를 지급한다.
기존에는 성동종합사회복지관, 금호데이케어센터, 성동주간보호센터 등 지역 사회복지시설 48곳 정규직 426명을 대상으로 지급했으나, 올해 2월에는 비정규직까지로 대상자를 늘려 88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894명에게 복지 포인트를 지급했다.
지원 금액도 호봉과 관계없이 연간 1인당 100포인트(10만원)를 지급하던 것을 연 200포인트(20만원)로 상향 조정해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사회복지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던 기관들도 이달부터는 본격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과 복지 서비스 향상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맞춤형 복지 포인트 확대 지원을 통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복지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물론 복지 대상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역 복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이끄는 맞춤형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비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