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두를 위한 포용적 인공지능 시대, 
- 지식재산처-과기정통부, 「2025 글로벌 정보문화기술 표준 학술회의」 개최(11.3~5) -  | 
		
지식재산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공동으로, 11월 3일(월)부터 5일(수)까지 3일간에 걸쳐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글로벌 정보문화기술(ICT) 표준 학술회의(이하 GISC*)」를 개최한다.
* Global ICT Standards Conference
올해 9회째를 맞은 GISC는 '인공지능 for All(모두의 인공지능)'을 주제로, 모든 사람들이 인공지능 기술의 혜택을 공평하게 누리고, 함께 발전하는 포용적 혁신의 미래 사회 구현 방향을 논의한다. 또한, 인공지능, 6G, 양자 등 디지털 전략기술의 표준화와 지식재산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국내외 주요 전문가 1,000여 명이 참석하였다.
특히, 기존에는 우리나라가 단독으로 기획했던 '글로벌 표준전략 연구회'를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 영국 과학혁신기술부(DSIT), 일본 통신기술위원회(TTC) 등 해외 주요국과 함께 공동 주관한다. 이를 통해 GISC가 단순 학술회의를 넘어 각국 정부와 함께 정보문화기술 표준화 비전을 설계하는 실질적인 국제 표준화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 ETSI :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DSIT : Department of Science, Innovation and TechnologyTTC :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ommittee
개막식에서는 ETSI 얀 엘스버거(Jan Ellsberger) 사무총장과 사실표준화 기구 크로노스그룹(Khronos Group) 회장이자 엔비디아(NVIDIA) 최고기술관리자(CTO)인 닐 트레벳(Neil Trevett)이 기조강연자로 나서서 피지컬 인공지능 시대의 포용적이고 혁신적인 디지털 혁신을 위한 글로벌 표준화 방향을 제시하여 참석자들의 많은 관심을 모았다.
11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글로벌 트랙과 국내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글로벌 트랙은 ▲ 글로벌 표준전략 연구회 1(피지컬 인공지능, 양자, 6G) ▲ 글로벌 표준전략 연구회 2 (표준역량강화) ▲ 한중일 IT표준협력회의 ▲ 한-EU 표준전략워크숍으로, 국내 트랙은 ▲ 정보문화기술 표준·특허 성과 발표회 ▲ 정보문화기술 표준특허 연구회 ▲ 정보문화기술 미래혁신 표준 연구회 ▲ 인공지능 윤리·안전성·신뢰성 연구회 ▲ 정보문화기술 표준자문, 국제표준화전문가 및 표준화 공개 토론회 성과 공유 및 활동 설명회 등으로 운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도규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표준화를 통해 우리 인공지능이 대한민국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과 보편성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며, "독자 인공지능 모델 확보, 피지컬 인공지능 육성 등 인공지능 기술 경쟁력 확보와 함께, 글로벌 표준화 활동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지식재산처 김정균 국장은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지식재산과 표준은 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핵심 전략 도구로 부상했으며, 특히 이들이 융합된 표준특허는 글로벌 정보문화기술 시장 선점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 선점을 견인하고, 이를 통한 기술무역수지 개선도 도모할 수 있도록 표준특허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