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카타르에 K-의료 혁신바람 확산
- 카타르와 보건의료협력 공동운영위원회 개최 및 합의의사록 체결 -
- 사우디 보건부와 한국 의료기술, AI·디지털헬스케어 등 진출 협의 -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 이형훈 제2차관은 11월 2일에서 11월 5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를 방문하여 보건의료협력 분야 협력 확대방안을 논의하였다.
11월 2일에는 사우디 비젼2030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디지털헬스케어 추진 현황 및 협력방안 논의를 위해 사우디 보건부 산하 HCC(Health Holding Company, 보건지주회사)*와 사우디 PIF(국부펀드) 산하 디지털 혁신을 담당하고 있는 LEAN사**를 방문하였다. 아울러 한국에서 훈련받은 사우디 연수생을 만나 사우디 임상현장에서 활용과 한국에서의 연수프로그램 개선 및 신규 과정 개설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 사우디 보건부 산하 의료기관(사우디 전체 의료기관의 60%) 관리(20개 헬스 클러스터, 5개 메디컬시티, 363개 종합병원, 2,161개 1차 의료기관, 총 44,000병상)
** Lean Business Services는 사우디 국부펀드 산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으로 대학병원 병원정보시스템 등 의료시스템 현대화 작업 추진 역할 수행, 한국 이지케어텍-사우디 Lean Business Service 사 간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MOU 체결(10.28)
11월 3일에는 한-사우디아라비아 간 양자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형훈 제2차관은 먼저, 사우디 교육부의 이나스 알에이사(Elinas Al-Eisa) 차관과 면담을 통해 사우디 의료인의 한국 연수* 확대 등 인적 역량 강화를 위한 양국 간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빠른 시일 내 새로운 MOU를 체결하는 등 협력을 구체화하고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 중동 4개국(사우디, 쿠웨이트, 바레인, 오만) 의료인의 한국 연수생은 누적 총 594명('25.10월 기준)이며, 그 중 사우디 연수생이 555명으로 93% 차지
이를 토대로 양국은 연수 대상을 의사, 치과의사에서 간호사, 약사, 의료기사까지 확대하고, 연수비용 현실화, 온라인 의료연수(MKA e-class) 제공, 의료 전문가 공동세미나 등 연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연수협약* 개정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의료인 연수 외에도 임상시험 및 첨단 기술에 대한 R&D 협력 등 양국간 관심분야에 대해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하였다.
*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사우디 교육부 간 의료인 연수 파트너십 체결('18. 5월)
다음으로 사우디 보건부의 압둘아지즈 하마드 알루메히(Abdulaziz Hamad AlRamaih) 차관과 양자 회의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바이오헬스제약, 병원정보시스템, 스마트병원로봇수술, 건강보험 등 관심사항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16년에 체결한 한-사우디 보건의료협력 MOU 개정을 통해 양국 협력방안을 현실화하고 구체화하기로 하였다.
또한, 사우디 보건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SEHA Virtual Hospital을 방문하였다. 사우디 보건부는 지역의 의료서비스 질을 높이고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해 디지털, 인공지능(AI) 기반의 질환 관리, 영상판독, 상담의사(컨설턴트)들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협력분야로서 AI 기반의 솔루션 분야를 제안하였다.
한국과 사우디는 정부차원에서 미래지향적 동반자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특히 한국은 사우디 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을 위해 '12년부터 양국 정부 간 협력에 기반하여 한국형 병원정보시스템을 수출하여 왔다. 또한 사우디 정부는 자국의 Vision 2030*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기업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 '16년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 주도로 수립된 탈석유, 산업다각화 위한 경제·사회 개혁전략으로 보건의료 핵심과제는 디지털 헬스케어
이형훈 제2차관은 같은 날 개최된 한국의 이지케어텍 사(社)와 사우디의 킹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보건과학대학(KSAU-HS)* 간 양해각서(MOU) 체결에 참여하여 한국의 병원정보시스템 등 우수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의 사우디 내 확산 및 인재양성 협력 강화에 대해 축하 및 격려의 말씀을 전하였다.
* (KSAU-HS)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선도 대학으로 의료정보학(Informatics) 석사과정 운영
다음날 11월 4일 카타르 도하에서 카타르 보건부의 가님 알리 알마나이(Ghanim Ali AlMannai) 차관보와 제1차 공동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카타르 국비환자의 한국에서 진료 확대, 카타르 의료인의 한국에서 연수 협력, 한국 의료인의 카타르 진출 확대, 첨단기술 협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합의 의사록*에 서명하였다
* '14.11월에 체결한 한-카타르 간 보건의료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근거로 새로운 보건의료 협력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행계획(Action Plan)에 관한 합의서
카타르 보건부는 자국 내 진료가 어려운 환자에 대해 국가가 비용을 지원하여 한국으로 보내고 있으며('24년 78명), 이번 회의를 계기로 송출 환자를 확대하고 한국의료기관과 송출 계약(PA)도 추진하기로 하였다.
* 아랍에미레이트(UAE)의 경우 '24년 국비환자 290명, 서울아산병원 등 12개 의료기관과 PA(Provider Agreement) 체결
또한, 카타르 의료인에 대해 한국에서의 유상 연수 협력 체계를 신설하고, 한국 의료인의 카타르 진출 활성화를 위해 한국의료인 면허 등급 상향* 및 서류 제출 간소화 등도 양국간 협력과제로 포함하였다.
* 한국의료인이 카타르 의사면허 취득시 자격시험 필수(Tier 2) → 자격시험 면제(Tier 1)로 등급 상향(UAE의 경우 '25. 3월 Tier 1로 등급 상향)
아울러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보건의료 AI, 스마트병원, 혁신 신약 등 첨단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의 카타르 진출 확대 및 발전을 위해 양국 간 인력교류, 병원 진출, 공동연구 및 투자 등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이번 공동운영위원회 합의는 한-카타르간 협력사업을 구체화하고 양국간 협력의 틀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계기로 한국이 잘하는 AI·디지털 분야에 대한 양국 간 협력이 확대되고 한국의 우수한 의료기술의 중동진출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국은 협력을 구체화하기 위해 실무단 워킹그룹을 구성하여 2년(1차 2026∼2027년) 단위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번 카타르 방문시에 카타르에 진출한 코리안메디컬센터(Korean Medical Center, KMC)를 방문해서 현지에 진출한 의료인을 격려하고, 정부의 지원방안에 대해 협의하였다.
이형훈 제2차관은 "중동에도 한류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사우디, 카타르는 K-의료의 중동진출에 있어 핵심 전략 국가라 할 수 있다"라면서, "이번 사우디 보건부, 교육부와 양자 회의, 카타르와 공동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AI,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및 의료인력의 중동진출을 활성화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고, 앞으로도 사우디, 카타르 등 중동 국가들 간 보건의료 협력을 보다 실질화하고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한-사우디아라비아 양자 회의 개요 및 성과
2. 한-카타르 제1차 공동운영위원회 개요 및 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