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보물 포화… 보관에 한계
환경제어 시스템 갖춰 2028년 완공
8일 서울신문 취재에 따르면 이 같은 성과는 역설적으로 수장고를 부족하게 했다. 현재 지하 4층 1716㎡ 규모 수장고에 보관된 유물은 1만 4473건, 1만 9150점에 이르러 보관 한계를 넘어섰다. 대표 사례는 2017년 네덜란드 델프트시 문화재단이 기증한 인도네시아 ‘누산타라 컬렉션’ 7715건 가운데 전시된 것은 330건(725점)에 불과하다. 나머지 7000여건은 수장고에 묶여 있다. 론타르재단의 무카무카무 컬렉션(6323건) 등도 마찬가지다. 이들 상당수는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속하는 귀중한 자료임에도 제대로 보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다음달에는 새 상설전시 ‘길 위의 노마드: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문화여정’이 열린다. 우즈베키스탄 기증 자료가 처음 공개되며, 기존 키르기스스탄 소장품과 결합해 유목문화의 지혜를 풀어낼 예정이다. 그러나 수장고가 확충되지 않으면 전시 확대는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ACC는 현재 장기 보존은 물론 안정적 전시 연계도 어려워 첨단 환경제어 시스템을 갖춘 신축 수장고 건립에 착수했다. 2028년 완공이 목표다.
김상욱 ACC 전당장은 “기증품은 계속 늘어나는데 보관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수장고 확장은 아시아 문화자산을 지켜내고 국민과 공유하기 위한 필연적 선택으로 더 미룰 수 없는 국가 과제”라고 강조했다.
광주 서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