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돌봄 시행을 앞두고 학계·제공기관 등 참여하여 긴밀한 소통 실시 -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와 중앙사회서비스원(원장 직무대리 유주헌)은 9월 25일(목) 오전 10시, 한국프레스센터(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 방향 및 추진현황'을 주제로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지역사회 통합돌봄 전문가 포럼은 전국 시행을 앞두고 통합돌봄이 안정적으로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포럼 현장에는 이스란 제1차관과 관계 전문가, 지자체·제공기관·민간단체 등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통합돌봄은 장애·질병·사고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의료·요양 등 돌봄 지원을 통합·연계하여 제공하는 사업이다. 통합돌봄은 2023년 시범사업으로 도입되어 2024년 관련법*이 제정됨에 따라 2026년 3월 27일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약칭: 돌봄통합지원법)」
이번 포럼에서는 장영진 보건복지부 의료·요양·돌봄통합지원단장이 통합돌봄 정책 방향과 그간 추진사항을 발표하고, 김대삼 광주광역시사회서비스원장이 지역의 우수사례인 광주광역시의 공공 돌봄 시스템 '광주다움통합돌봄'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현장 효능감 높은 통합돌봄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에 대해 토론하였다.
특히 광주다움통합돌봄에 대해서 김대삼 원장은 누락없는 기존 돌봄 연계와 광주+돌봄 13대 서비스*를 통해 돌봄 사각지대를 메우고 있는 성과를 제시하며,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선도모델이 될 것이라 설명하였다.
* ①일시재가, ②방문목욕, ③식사지원, ④병원동행, ⑤방문간호, ⑥방문구강교육, ⑦방문맞춤운동 ⑧AI안부확인, ⑨ICT활용안전체크, ⑩안전생활환경, ⑪대청소, ⑫방역·방충, ⑬케어안심주택
보건복지부 이스란 제1차관은 "정부는 통합돌봄이 안정적으로 현장에 정착되어 우리 국민의 삶을 든든히 지킬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하며,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앞으로도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도록 여러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중앙사회서비스원 유주헌 원장 직무대리는 "중앙과 시·도 사회서비스원은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전문기관으로서 통합돌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현장과 정부를 이어줄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지역사회 통합돌봄 전문가 포럼 개요
2. 지역사회 통합돌봄 전문가 포럼 포스터
<별첨> 지역사회 통합돌봄 전문가 포럼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