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이변 대응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다부처 공동연구사업 성과공유회 개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11일(금)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다부처 공동연구사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예방수의학회 5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특별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국립산림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기상과학원이 참여했다.
참석 기관들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부처 공동연구의 중간 성과를 공유했으며, 우수 밀원수종 개발, 꿀벌 질병 진단·제어 기술, 스마트 양봉 관리, 화분 매개 생태계서비스 증진 등 각 기관이 추진하는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기후변화에 적합한 밀원수 개발 및 밀원단지 조성모델 개발 성과를 소개했다.
전 세계 농작물 생산량의 약 35%는 수분 매개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꿀벌은 핵심 수분 매개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구온난화, 살충제 사용, 서식지 파괴, 꿀벌응애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꿀벌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이에 5개 부처는 2023년부터 2030년까지 8년간 약 48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꿀벌 보호 및 관리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특용자원연구과 권해연 과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꿀벌 집단 폐사 문제는 생태계와 농산물 생산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앞으로도 관계 부처와 협력해 꿀벌 생존을 위한 과학적 해법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