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우수 행정 및 정책사례’ 우수상 수상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진구, 바람과 빗물 지나는 ‘바람길숲과 빗물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서구 방화동에 모아주택 180세대…서울시 심의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무더위쉼터 200곳… 성동, 폭염 대응 강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6.27.금.조간] 2024년에는 어떤 감염병이 유행했나?법정감염병 발생 동향 분석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024년에는 어떤 감염병이 유행했나?법정감염병 발생 동향 분석


- 2024년 감염병 발생, 전년대비 54.5% 증가 -




- 방역통합정보시스템 신고 정보 분석하여 「2024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 발간


- '24년 감염병 발생 증가는 소아·청소년 중심 백일해 등 호흡기 감염병 유행 영향


- 백일해, 성홍열, 수두, CRE 감염증 등은 증가하고, 유행성이하선염, 결핵, C형간염, A형간염 등은 감소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4년 방역통합정보시스템(구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으로 신고된 법정감염병 현황을 분석하여 「2024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를 발간하였다.




  연보에는「감염병예방법」제2조에 명시된 총 89종* 의 법정감염병(제1급~제4급)의 통계가 수록되어 있으며, 2024년에는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제1급~제3급) 총 66종 중 40종의 감염병이 신고되었고, 26종은 신고 건이 없었다.


  *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66종 + 표본감시 대상 감염병 23종


  2024년 전수감시 법정감염병(제1급~제3급) 신고환자 수는 총 171,376명(인구 10만 명당 334명)으로, 2023년 5,626,627명(인구 10만 명당 10,951명)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나,




  2023년에서 2024년 사이 감염병 급수의 변동*이 있었던 코로나19(5,517,540명)와 매독(2,790명)을 제외하면, 신고환자 수는 총 168,586명(인구 10만 명당 329명)으로 전년(109,087명) 대비 54.5% 증가(+59,499명)하였다.


  * 코로나19 제2급→제4급 전환('23.8.31.), 매독 제4급→제3급 전환('24.1.1.)






                            < 최근 3년간 감염병 신고현황 >


                                                                                                              (단위 : )




구분


2022


2023


2024


합계


전체


28,517,179


5,626,627


171,376


(4,160.40%)


(80.3%)


(97.0)


코로나19·매독 제외


92,830


109,087


168,586


(6.6%)


(17.5%)


(54.5)


1급감염병


소계


-


1


-


(순감)


(순증)


(순감)


2급감염병


소계


28,499,681


5,610,190


152,586


(35,254.1%)


(80.3%)


(97.3)


코로나19 제외


75,332


92,650


152,586


(6.5%)


(23.0%)


(64.7%)


3급감염병


소계


17,498


16,436


18,790


(6.9)


(6.1%)


(14.3%)


매독 제외


17,498


16,436


16,000


(6.9)


(6.1)


(2.7%)








  2024년 주요 감염병 급별 신고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제1급감염병(17종)은 2023년에 보툴리눔독소증이 1건 발생하였으나, 2024년은 신고 건이 없었다.




  제2급감염병(21종)은 총 152,586명으로 전년 대비 64.7%(+59,936명) 증가하였다.




  증가한 주요 감염병*은 백일해가 대부분이며, 그 외에는 성홍열, 수두,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목(CRE) 감염증 등으로 이들 4개 감염병이 제2급감염병 전체 신고건 중 84.5%(128,929명)를 차지하였다. 


  * 백일해 164.5배('23년 292명 → '24년 48,048명), 성홍열 8.1배('23년 815명 → '24년 6,642명),수두 18.3%('23년 26,964명 → '24년 31,892명), CRE 10.3%('23년 38,405명 → '24년 42,347명) 증가




  특히, 백일해, 성홍열과 같은 호흡기 전파 감염병의 경우, 미취학 영유아 및 학령기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감소한 주요 감염병*은 유행성이하선염, 결핵, A형간염 등이다. 


  * 유행성이하선염 △17.0%('23년 7,737명 → '24년 6,425명), 결핵 △7.9%('23년 15,640명 → '24년 14,412명), A형간염 △11.8%('23년 1,324명 → '24년 1,168명) 감소




  이 중, 결핵은 2011년 신규 환자 수가 39,557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연평균 7.5%씩 감소하여 2024년도에도 7.9%(△1,228명) 감소하였으나, 전체 신환자(4,412명) 중 노인 비율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24년 58.9%(8,491명)를 차지하고 있다. 




  제3급감염병(28종)은 총 18,790명으로 전년 대비 14.3%(+2.354명) 증가하였으나, 2024년 4급에서 3급으로 전환된 매독(2,790명)을 제외하면 2.7%(△436명) 감소하였다.




  증가한 주요 감염병은 쯔쯔가무시증으로 6,268명이 신고되어 전년 대비 10.7%(+605명) 증가하였다.




  감소한 주요 감염병은 C형간염으로 2024년 6,444명 신고되어 전년 대비 11.1%(△805명) 감소하였으며 2020년을 정점(11,850명)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해외에서 유입된 감염병은 2010년 이후 매년 400∼700명 내외로 신고되었으나, 코로나19 유행 시 크게 증가하는 추세(2020년 5,495명, 2021년 11,989명, 2022년 56,037명)를 보이다가, 2023년 7,122명, 2024년 606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다만, 2023년 코로나19(6,733명)를 제외하면 전년 대비 55.8%(+217명) 증가하였으며, 뎅기열(196명, 32.3%), 매독(1기)(117명, 9.7%), 말라리아(54명, 8.9%), 수두(43명, 7.1%), C형간염(41명, 6.8%) 순으로 신고되었다.




  주요 유입대륙은 아시아(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가 전체의 약 79.5%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아프리카(남수단 등)가 9.1%, 유럽이 5.1%로 나타났다.




  법정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결핵* 제외)는 2024년 총 1,238명으로 전년(1,047명) 대비 18.2% 증가(+191명)하였다. 


  * '24년 결핵 사망자 수는 국가승인통계로,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서 '25년 9월 말 공표 예정


  2024년에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주요 감염병은 CRE 감염증(838명), 후천성면역결핍증(158명), 폐렴구균 감염증(87명) 등이었다.


  * '23년 사망 주요 감염병 CRE 감염증(663명), 후천성면역결핍증(158명), 폐렴구균 감염증(80명),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38명) 등


  질병관리청은 새로운 감염병 위기상황에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개편하여 2024년 1월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새롭게 개통하였으며, 감염병환자가 발생할 때마다 의료기관, 보건소, 시도 등에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신고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 1년간 법정감염병 신고 정보를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었으며, 수집된 감염병 신고정보는 감염병대시보드, 감염병통계, 주간발생동향 등으로 '감염병포털'에 대국민 공개*하고 있다.


  * 제1급~제3급 감염병(전수감시)은 매일, 제4급감염병(표본감시)은 매주




                  < 감염병 신고체계 및 발생정보 공개절차 >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감염병포털


의료기관



보건소·시도



질병관리청



감염병 발생정보


대국민 공개


감염병환자


신고


신고 접수


및 확인


신고 조회


및 관리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의료기관 등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는 감염병 신고는 감염병 확산을 조기에 인지하고 지역사회로의 전파를 차단하여 피해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감염병 감시체계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며, 




  "감염병 환자 발생 시 적극적으로 신고해 주시는 전국의 의료기관과, 역학조사, 환자관리 및 감염병병원체 실험실 검사·감시 등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대응해주시는 지자체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 고 전했다.




  「2024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는 책자 및 전자파일로 관련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며, 질병관리청 누리집과 감염병포털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 > 간행물·통계 > 감염병연보 > 감염병감시연보


    감염병포털(dportal.kdca.go.kr) > 감염병 소식 > 간행물·소식지 > 감시연보




<붙임>  1. 법정감염병 분류 체계 


         2. 2024년도 주요 법정감염병 신고 현황


         3. 2023-2024년도 법정감염병 신고 증감 현황


         4. 2015-2024년도 법정감염병 발생 신고 현황 


         5. 2015-2024년도 법정감염병 사망 신고 현황


         6. 2015-2024년도 감염병 해외유입 현황 및 주요 유입국가 


        7. 질병관리청 감염병별 담당 부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