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청사 3·4층에 ‘문학도서관’ 조성
책 1만권 보유… 계단식 강연장도
바닥에 턱 없어 휠체어 이동 편해
류경기 구청장 “지역 구심점 될 것”
도서관 통창으로 겨울볕이 쏟아졌다. 서울 중랑구민 너덧 명이 창가 자리에 앉아 햇볕을 조명 삼아 책을 읽고 있었다. 여기는 ‘중화문학도서관’이다.
지난달 22일 중화문학도서관에 갔다. 도서관이 자리한 중화2동 복합청사 개청식이 열린 날이었다. 도서관은 복합청사 3, 4층에 있었다. 문학도서관이라는 이름답게 모든 장서가 문학이었다. 현재 약 1만권을 보유하고 있다. 연내 8000여권을 더 확보해 1만 8000여권까지 늘릴 계획이다.
내부 좌석은 150석이 조금 넘었다. 통로가 널찍했고 책장과 책장 사이 공간이 넉넉했다. 바닥에는 턱이 없었다. 무인대출반납기는 버튼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었다. 휠체어를 탄 구민을 배려한 중랑구의 조치였다.
3층에는 고전, 어린이문학, 유아 그림 문학책이 있었다. 유아 그림 문학책을 모아 둔 ‘그림책 존’은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구조로 만들었다. 한 여성이 갓 걸음마를 뗀 것처럼 보이는 아이를 품에 안고 작은 목소리로 책을 읽어 주고 있었다. 4층에는 소설과 수필 등이 있었다.
3, 4층은 엘리베이터로 이동할 수 있고 내부 계단을 통해서도 오갈 수 있었다. 이 계단은 강연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중랑구는 여기에 60여명이 앉을 수 있는 계단식 좌석을 배치하고 ‘고전산책’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중랑구민 고정선씨는 “문학 전문 도서관이 집 근처에 생겨 기쁘다”며 “문학 동아리 모임을 하고 있는데 우리가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열렸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1층에는 주민센터가, 2층에는 대강당 등이 있었다. 과거 중화2동 청사는 1991년에 지어진 건물이었다. 낡고 좁아 이용하기 불편하다는 구민들의 민원이 적지 않았다. 이 민원을 해결하고자 중랑구는 복합청사 건립을 계획하고 2023년 4월 착공했다. 그리고 지난달 13일 새 청사에서 업무를 개시했다.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3051㎡ 규모다. 옛 청사보다 3배 가까이 넓어졌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개청식에서 “새 복합청사가 지역 공동체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구민 중심의 행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강신 기자
2025-02-0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