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회의에서 SMR 상용화 촉진 및 원전 혁신 위한 국제 민관협업 논의 |
- 한국, 의장국으로서 제3차 OECD NEA 원자력 장관회의 주최 - 불가리아, 핀란드 등과 원전 등 에너지 분야 협력방안도 논의 |
산업통상자원부는 의장국으로서 2025년 9월 18일(목)~19일(금) 프랑스 파리에서 제3차 신원자력 로드맵 컨퍼런스(Roadmaps to New Nuclear Conference 2025)를 주최하였다. 이번 원자력 장관회의에서 각 국은 원자력의 활용 분야를, 전력 생산을 넘어 에너지 집약 시설, 열·수소 생산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할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으며, SMR 등 원전산업의 혁신과 상용화 촉진 방안 등을 공유했다.
< 제3차 OECD NEA 신원자력 로드맵 컨퍼런스(장관회의) 개요 >
ㅇ (일시/장소) 9.18(목) ~ 9.19(금), 프랑스 파리 OECD 컨퍼런스 센터 ㅇ (의제) 원자력 활용방안, 자금 조달 및 원전 건설·공급망, 개도국의 원전 건설 등 ㅇ (참석) OECD NEA 회원국, 국제기구·단체, 글로벌 기업 등 200여 명 |
산업부 이호현 제2차관은 개회사에서 "최근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원자력을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바라보고 있다"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원자력의 다양한 활용과 차세대 원자로 개발 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은 원전 건설·운영·기술 등 산업 전주기에 걸쳐 역량을 지닌 국가로서 향후 원전 공급망, 투자 등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한국의 원전 역량을 홍보했다. 이어서 이 차관은 원전 주요국과 글로벌 기업들이 참석한 첫 번째 본회의(주제: Transformative Markets for New Nuclear) 세션을 주재하며, 향후 원자력을 활용한 시장 변화와 차세대 원전 개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이 차관은 불가리아, 핀란드 등 주요국 장관급 인사와 양자 면담을 갖고 ▲불가리아 내 신규원전 사업 협력 증진 방안 및 ▲핀란드와 사용후핵연료 처리와 SMR 등 다방면에서의 협력을 가속해 나가기로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