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차 한·일 해사안전정책회의, 제주에서 개최
- 한-일 국제여객선 안전관리 강화 등 선박안전확보·국제기준 협력방안 논의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9월 17일(수) 제주에서 '제24차 한·일 해사안전정책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 A그룹 이사국*인 한국과 일본은 1996년부터 매년 정례회의를 개최하여 선박안전 관련 국제기준 마련과 공동 이행방안을 논의해 왔다.
*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유엔 산하 전문기구로, 해상안전·보안,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협약·규범 제정기관. 기구의 예산 등 전반적인 운영을 주도하는 이사회는 3개 그룹(A,B,C)로 구분되며, A그룹은 주요해운국가(10개국)로 구성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는 올해 국제여객선 안전관리 현황, 상반기 일제 점검결과 등을 공유하고, 신속한 사고대응 등을 위해 양국 당사자 간 실시간 소통 방안을 논의하였다. 양국은 여객선 안전이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만큼, 작은 사고라도 엄중히 대응할 필요가 있음에 인식을 같이하고 향후 국제여객선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외에도, 선박 온실가스감축 등 양국의 정책 동향을 공유하고, △암모니아 연료 추진선박 오수처리 지침개발 △선체부착생물 관리협약 제정 △국제선박안전관리규약(ISM) 개정 등에 대해 공동으로 의제를 제출하는 방안도 협의했다.
최성용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장은 "국제여객선의 안전은 출·입항 양 항만당국의 긴밀한 협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라며, "정부는 일본 당국과 적극 협력하여 국제여객선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 될 수 있도록 빈틈없이 관리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