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목록 6만여 종 분석해 담수생물 38% 비중 확인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용석원)은 우리나라 담수생물 자원을 체계적으로 목록화한 '담수생물종목록 통합본'을 9월 3일 담수생물다양성 정보포털(fbp.nnibr.re.kr/portal)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통합본은 담수에 서식하는 동식물을 비롯해 미생물을 모두 아우른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40여 명 이상의 대학, 기관 및 연구소의 전문가와 협력해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된 6만 1,230종의 전체 생물에 대해 서식지와 생태적 특성을 검토했고, 이 중 2만 3,221종을 담수생물로 선별해 목록화했다.
* 국가생물종목록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이 확인된 모든 생물을 수록한 것으로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구축·관리함
연구진은 이번 목록을 통해 우리나라 전체 생물 중 약 38%가 담수생물인 것을 확인했으며, 이는 국내 담수생물다양성을 통계적으로 보여주는 첫 번째 공식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담수생물이란 생활사 중 전부 혹은 일부 기간에 담수서식지를 이용하는 종을 일컬으며 3가지 범주로 구분 1) 담수서식지 중 오로지 수중에서만 서식하는 종, 2) 담수가 표면을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덮고 있는 환경에 서식하는 종, 3) 담수 및 기수(담수와 해수가 섞이는 곳)에서 모두 서식 가능한 종
'담수생물종목록 통합본'은 담수생물다양성 정보포털에서 전자책(E-Book) 형식으로도 게재되어 누구나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한편 세계자연기금(WWF)이 2024년에 발간한 '지구생명보고서*'에 따르면, 담수서식지에 사는 생물은 다른 서식지 생물에 비해 개체수와 종수의 감소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담수생물종목록 통합본'은 담수생물의 급속한 감소에 대비하여 우선 보전 대상을 선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998년부터 세계자연기금(WWF, World Wide Fund for Nature)에서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세계 생물다양성 관련 주요 환경보고서
류시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다양성보전연구실장은 "이번 목록을 매년 갱신하여 우리나라 담수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담수생물다양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담수생물종목록 통합본 현황.
2. 담수생물종목록 통합본 사진.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