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민생쿠폰)에 대해 “나라 전체가 빚을 내 현금을 퍼주는 통치가 반복되면 미래 세대는 앞선 세대의 풍요를 누릴 수 없다. 몰염치이자 미래 세대 약탈”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오 시장은 이날 자신의 SNS에 ‘청년의 어깨에 얹을 것은 쿠폰이 아니라 경쟁력이어야 한다’는 제목의 글을 통해 “정부와 여당은 청년들의 절박한 불안을 아는지 모르는지 일회성 현금살포를 ‘민생쿠폰’이라 포장하며 13조원의 재정을 쏟아부었다. 폭증한 빚은 고스란히 청년의 어깨 위로 떨어진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청년들은 ‘소득주도 성장보다 쿠폰주도 경제가 더 공포스럽다’고 말한다. 소주성(소득 주도 성장)의 악성 변종이라는 뜻”이라며 “정치인으로서, 행정 책임자로서 청년들이 느끼는 공포를 차마 외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또한 오 시장은 “서울의 문화와 디자인이 세계의 시선을 끌 때 비로소 ‘부’가 창출된다. 그러면 사람이 모이고, 투자와 일자리가 따라온다”라며 “그런 철학으로 만들어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한강 세빛섬에는 세계의 탑 브랜드가 몰려와 우리 청년들과 협업한다. 한강공원에는 매일 20만명의 시민이 머물고,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속 한강과 남산은 이미 ‘브랜드 서울’의 얼굴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그 어떤 브랜드도 생산해 본 일 없는 운동권 진영은 변화의 순간마다 늘 같은 태도였다. 청계천 복원도, 한강 르네상스도 무조건 반대했을 뿐”이라며 “그들의 논리대로 했다면 오늘의 서울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도시’가 아니라 ‘멈춘 도시’가 됐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