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 전체 전공의 규모 1만명 수준(10,305명, 예년의 76.2%) 회복 -
- 이번 하반기 전공의 합격자는 총 7,984명(모집인원 대비 59.1%) -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위원장 유희철)는 9월 2일(화)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하반기 모집 결과 인턴 및 레지던트 총 7,984명(모집인원 대비 59.1%)이 선발되었다.
모집인원 대비 선발인원 비율을 연차별로 보면 인턴 52.0%, 레지던트 61.2%를 기록하였다. 한편 지역별로는 수도권 수련병원이 63.0%, 비수도권 수련병원이 53.5%로 나타났다.
<2025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단위 : 명, %)
구분 |
계 |
수도권 |
비수도권 |
||||||
모집인원* |
선발인원 |
비율 |
모집인원* |
선발인원 |
비율 |
모집인원* |
선발인원 |
비율 |
|
총계 |
13,498 |
7,984 |
59.1 |
8,025 |
5,058 |
63.0 |
5,473 |
2,926 |
53.5 |
인턴 |
3,006 |
1,564 |
52.0 |
1,694 |
963 |
56.8 |
1,312 |
601 |
45.8 |
레지던트 |
10,492 |
6,420 |
61.2 |
6,331 |
4,095 |
64.7 |
4,161 |
2,325 |
55.9 |
* 결원(정원-현원) 범위에서 각 수련병원(기관)이 모집계획을 제출한 인원
이에 따라 전체 전공의 규모는 이번 하반기 선발인원과 기존에 수련 중인 인원을 포함해 총 10,305명으로 집계되어, 예년('24.3월 기준 임용대상자 13,531명) 대비 76.2%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기준 전공의 규모는 2,532명으로 예년 대비 18.7% 수준이었다.
예년 대비 전공의 규모 비율을 연차별로 보면, 인턴 61.8%, 레지던트 80.4%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수련병원이 77.2%, 비수도권 수련병원이 74.3%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로는 정부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 대상인 8개 과목이 예년 대비 70.1%, 그 외 과목은 예년 대비 88.4%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4.3월 대비 2025.9월 전공의 규모>
(단위 : 명, %)
구분 |
계 |
수도권 |
비수도권 |
|||||||
'24.3월* (A) |
'25.9월 (B) |
비율 (B/A) |
'24.3월* (A) |
'25.9월 (B) |
비율 (B/A) |
'24.3월* (A) |
'25.9월 (B) |
비율 (B/A) |
||
총계 |
13,531 |
10,305 |
76.2 |
8,562 |
6,611 |
77.2 |
4,969 |
3,694 |
74.3 |
|
인턴 |
3,068 |
1,896 |
61.8 |
1,846 |
1,184 |
64.1 |
1,222 |
712 |
58.3 |
|
레지던트 |
10,463 |
8,409 |
80.4 |
6,716 |
5,427 |
80.8 |
3,747 |
2,982 |
79.6 |
|
|
8개 전문과목** |
4,579 |
3,209 |
70.1 |
2,995 |
2,213 |
73.9 |
1,584 |
996 |
62.9 |
그 외 전문과목 |
5,884 |
5,200 |
88.4 |
3,721 |
3,214 |
86.4 |
2,163 |
1,986 |
91.8 |
* '24.3월 임용대상자('24.3월 기준 수련 예정이었던 자)
** 전공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대상 8개 전문과목(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그동안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복귀 및 수련환경 개선 등을 논의하기 위해 대한의학회, 수련병원협의회, 전공의협의회 등 단체와 수련협의체를 운영해 왔다. 지난 8월 7일 개최된 제3차 회의에서는 기존 복귀 전공의에 적용된 조치 수준에서 이번 하반기 모집 절차를 진행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11일부터 8월 말까지 병원별 자율 모집 방식으로 이번 모집 절차가 진행되었다.
이번 모집 결과와 관련하여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상당수 사직전공의가 수련 현장에 복귀함에 따라 의료체계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하면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필요성도 다시 한번 확인된 만큼, 관련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세부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