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우라늄공장 폐수 의혹 관련 조사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충실히 수행되었습니다 |
□ 보도 매체
ㅇ 정부, 북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7.25., 매일신문)
□ 주요 내용
ㅇ 정부가 최근 북한 우라늄 정련소 폐수 방류 의혹 관련 조사에서 라듐·폴로늄 등 핵심 딸핵종 검사는 하지 않고,
ㅇ 조사항목에 정련소와 관계없는 세슘 등이 포함되어 조사설계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의혹 제기
□ 설명 내용
ㅇ 정부는 정련시설의 특성, 검출 가능성 및 모니터링 효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속한 분석이 가능한 우라늄을 우선적으로 조사하되, 특이사항이 있는 경우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 조사를 검토하기로 하고 신속하고 투명하게 조사를 수행하였습니다.
※ 라듐 등의 핵종은 분석 소요시간이 1개월 정도임
- 이번 조사 결과에서 검출된 우라늄 농도*를 고려할 때, 북한 우라늄 공장 폐수의 영향에 따른 다른 딸핵종**이 유의미하게 존재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 추가 분석은 하지 않았습니다.
* 자연 상태에서 충분히 존재할 수 있는 극히 미미한 수준(0.135~1.993 ppb)
** 어떤 방사성핵종이 붕괴하면서 생성되는 새로운 핵종(daughter nuclide)
ㅇ 이번 조사는 북한 우라늄공장 폐수 의혹과 관련하여 폐수의 국내 유입으로 인한 환경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습니다.
- 우라늄은 정련과정에서 약 90~95% 회수되며, 5~10%가 회수되지 않고 폐액에 섞여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회수되지 않은 5~10%의 우라늄이 환경으로 유입될 경우, 그 양이 자연 상태에서 존재하는 우라늄 양보다 50~100배 수준이기 때문에 우라늄 공장 폐수 유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대표 핵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 방사성세슘은 정보가 제한적인 북한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완적으로 조사항목에 포함
ㅇ 라돈·토륨·라듐·폴로늄 등 딸핵종은 핵종의 특성에 따른 검출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조사 범위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라돈은 휘발성이 강하고, 토륨은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 강물이나 해수 중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
◇ 라듐은 정련 과정에서 바륨, 칼슘 등과 함께 침전물을 형성하여 가라앉아 물에 잘 녹지 않으므로 실제 폐액 중에 녹아있는 라듐의 농도는 높지 않아 우리 환경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크지 않음
◇ 폴로늄은 입자성 물질에 잘 흡착되는 성질로 인해 처리공정에서 슬러지에 흡착이 되며, 일부 물에 녹아있는 폴로늄은 수계로 이동 시에도 부유물 등에 흡착되어 실제 우리 환경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크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