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환경과학원, 전문가 300여 명 참여 환경표준심의회 연찬회 개최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2월 13일 삼정호텔(서울 강남구 소재)에서 환경분야 국가 및 국제표준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2025년 환경표준심의회 연찬회(워크숍)'를 개최한다.
올해는 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가 도입된 지 10주년이 되는 해로, 이번 연찬회는 환경분야 표준전문가 약 300명이 참석하여 환경표준의 운영 역량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국제표준화기구(ISO) 대응을 위한 산·학·연 전문가들의 유기적인 협력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연찬회는 총 2부로 진행되며, 1부에서는 △2024년 환경표준심의회 주요 성과 및 2025년 운영계획(국립환경과학원), △세계 표준의 날 국무총리상 수상 기념 표준 제정 방법(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국제 동향(조성환 국제표준화기구 회장) 등을 소개한다. 특히 1부에서는 지난 10년간 환경분야 표준대응을 활성화하고, 국제적 입지를 넓힌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환 국제표준화기구 회장이 특별 강연을 진행한다.
2부는 △국제표준화기구 수질분야(ISO 147) 국제표준화회의 개최 성과 발표(FITI시험연구원), △표준 정보서 소개(한국물기술인증원), △환경분야 기술심의회 및 16개 분야별 전문위원회 개최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10월 '제36차 국제표준화기구(ISO) 수질분야 총회'가 서울(삼정호텔)에서 개최됐으며, 국내 전문가들은 27개국 250여명의 수질분야 국제전문가와 함께 미세플라스틱 분석방법 등 활발한 논의를 거쳐 성과*를 이뤄냈다.
* 국제표준 신규작업 승인(1건), 신규작업안 제안 발표(5건), 프로젝트 리더 수임(2건)
당시 김윤석 박사(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2024년) 새롭게 설립된 작업반(SC2/WG86)에 컨비너로 임명되어 첫 회의를 진행했다.
그해에는 수질분야 이외에도 포장환경 위원회(ISO/TC 122)에 김종경 박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가 의장으로 임명되어 현재까지 총 9명의 국내 전문가가 국제표준화기구 임원으로 국제표준화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분야 2개의 기술심의회와 16개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운영 중이며, 이들 전문위원회는 이번 연찬회에서 올해 활동할 각 분야의 대표 전문위원을 선출하고 세계시장 선점, 기업혁신 지원, 혁신 주도형 표준화체계 확립 등을 위한 환경분야 국가표준기본계획 수립을 논의할 계획이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앞으로도 환경분야 표준전문가들이 활발히 소통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여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나라의 원천기술이 국제표준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25년 환경표준심의회 워크숍 일정표.
2. 환경표준심의회 구성.
3. 전문용어 설명.
4. 국제표준화기구 국내 활동 및 조성환 회장 이력.
5. 국제표준화회의 국내 개최 성과.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