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형 도시문제 해결 실험실 주목
박희영 구청장, 한강대로21가 찾아주차난·무단투기 등 애로사항 청취
안전 우려 지역 알리는 ‘두려움 지도’
야간순찰·안심벨 추가 등 적극 제시
“젊은이들이 찾는 핫 플레이스도 좋지만 주민 어려움이 늘었죠. 상권을 살리면서 생활 불편도 줄이도록 해결책을 찾아봅시다.”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이 지난 19일 한강대로21가길 동쪽 골목길에서 열린 ‘찾아가는 리빙랩, 용용랩’에 떴다. 인근 철길 건널목 때문에 ‘땡땡거리’라고 불리는 오래된 주택가인 이곳에는 최근 힙한 카페와 음식점이 늘어났다. 용용랩에서는 길게는 수십년간 골목길을 지켜 온 주민들이 모여 주차난부터 쓰레기 무단 투기, 소음 등에 이르는 이야기를 늘어놓았다.
이를 통해 용용랩에서는 참가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안전이 우려되는 지점을 도출하는 ‘두려움 지도’를 만들었다. 골목에서 담배를 피우는 경우가 늘었고 골목길 이중 주차, 노상 방뇨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용용랩 관계자는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깨진 유리창’ 이론처럼 정돈된 골목길은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며 “주민들의 작은 불편함 하나하나 모아 가겠다”고 했다.
박 구청장은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했다. 소음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야간 순찰을 늘리는 방안, 골목길 안심벨 추가 등을 지시했다. 특히 용용랩을 마친 뒤에도 골목길을 한동안 걸으면서 일방통행 표시를 개선하는 방법을 고민했다. 초등학생 시절부터 동네 주민이라는 고모(60)씨는 “예쁜 골목길도 좋지만, 주민이 안전한 동네가 됐으면 한다”며 “박 구청장님과 현장에서 만나 이야기하는 정말 속시원한 시간이었다”고 했다.
용용랩은 현장을 직접 찾아가 주민과 함께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책을 찾는 용산구 고유의 참여형 도시문제 해결 실험실이자 범죄 예방 디자인을 구축하는 과정이다. 그동안 용산2가동, 청파동에서도 추진됐지만 찾아가는 형식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구청장은 “주민의 생활 현장 구석구석을 직접 살피며, 체감도 높은 생활 안전 해법을 함께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며 “범죄 예방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쳐 꼼꼼히 점검해 주민 누구나 안심할 수 있는 도시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유미 기자
2025-06-2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